울산 근교산

운문산 북릉-호거대와 독수리바위

솔바람* 2007. 3. 19. 17:36

 

           

 

               운문산 북릉 - 호거대와 독수리바위를 찿아서

 

 

 

            산행일시 : 2007년 3월 1일 목요일 삼일절 맑음

            산행코스 : 운문사 주차장-호거대(등심바위)-범봉-

                          딱밭재-아쉬운릿지-운문산-운문북능-

                          독수리바위-운문사 운문선원-운문사주차장

            산행시간 : 오전 10시 00분 -19시 00분 (9시간)

 

 


             늘상 밀양쪽 운문산 남릉쪽을 타다가
             청도쪽 북릉의 호거대와 독수리바위가 보고 싶었다
             운문산의 유래-운문사 현판을 보면 운문산이 아닌
             호거산운문사로 되어 있음를 봐서 고려 태조 왕건이
             운문사액을 내리기 전에는 호거산으로 불렸던것 같다
             황정리 운문사 주차장에 도착하니 10시였다
             주차장 바로 다리을 건너 인공암벽을 뒤로하고
             개울을 따라 눈앞에 보이는 호거대로 향하는데
             경산에서 왔다는 젊은(?)산님을 만났다
             이 산님도 나와 같은 코스로 산행한단다
             나는 오늘 산행코스를 머리속에 넣고 왔는데
             지난번 이 코스로 산행하다가 실패했다면서
             이산님은 산행지도등 준비를 단단히 한 모양이였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같이 동행하게 되었는데
             이후로 이산님을 경산선생이라 불럿다
 

                                                                          < 호거대 모습>
 
            호거대로 오르는 중에 이 경산선생은
            덥다면서 웃옷을 벗으며 먼저 가란다
            호거대로 가는길은 계속 이어지는
            오름길이 오늘따라 왠지 무척이나 힘들다
            거대한 바위인 호거대(등심바위)에 도착하여 보니
            바위위로 쇠줄이 있어 쇠줄을 붙잡고 올라선다
            바위 이름이 왜 호거대일까 ?
            등심바위는 또 무슨 뜻일까 ?
            호랑이 형상을 닮아 호거대라는데
            가까이서 보니 그냥 펑퍼짐한 바위일뿐
            어째서 호랑이 형상이란 말인가?
            뒤따라온 경산선생과 한컷하고 다시 출발...
 
 

                                                            <호거대위에서>

 

             조금 진행하다 명태재에 닿는다
             우측으로는 대비지로 가는길이고
             좌측으로는 운문사로 가는길이다
             직진하여 계속 오름길을 걷는다
             동행하던 경산선생이 힘이 드는지
             아니면 내 걸음이 빠른지 자꾸만 뒤쳐진다
             몇개의 봉우리를 넘고 주능선 못미쳐
             커다란 바위전망대에 이르니 배가 고파왔다
             시간을 보니 12시반이였다
             점심을 홀로 한참 맛있게 먹는데 
             뒤따라온 경산선생은 자기는 배가 부르면
             걷지를 못한다면서 먼저 가겠노라하였다

             점심을 마치고 범봉으로 가는길...
             날씨가 맑아 조망이 너무 멋지다
             지룡산.가지산.가지북능.큰골.천문지골.억산.귀천봉...
             그리고 오늘 가야하는 운문북릉도 시원스레 펼쳐진다 
             시간에 쫓기지 않고 여유있게 산행을 즐긴다


                                                             <아쉬운릿지>


               이윽고 딱밭재에 이르니 어디서 본 듯한
               머리가 홀라당 벗겨진 대머리의 한 산님이
               반갑게 인사를 건네길래 누군가 싶어
               한참을 쳐다보니 경산선생이였다
               모자를 썼을땐 한참 젊어 보이더니
               모자를 벗은 모습은 백발에다 완전히나이
               육십은 족히 되 보이는 늙은이 모습이였다
               선생이라고 부르기를 참 잘했다는 느낌이다

               딱밭재를 지나고 오름길이 무척 힘들다
               여러 산님들이 많이 오고 간다 
               그리고 연이어 릿지구간이 나온다
               이름하여 아쉬운릿지이다
               릿지는 릿지인데 왜 아쉬운이라 했을까?
               릿지구간이 너무 짧아서 아쉬워서 일까?
               하긴 암릉을 로프를 붙잡고 넘으니
               아쉽게도 이내 릿지가 끝나버렸다


                                                       <운문산 정상에서>

 

               오가는 산님들 틈에 경산선생을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다 놓쳐버렸다
               별로 아쉬울것도 없지만...
               산행시작한지 어느덧 5시간째인
               오후3시 운문산정상에 도착하니
               이 경산선생은 아는분을 우연히 만나
               반갑게 이야기를 서로 나누고 있다


                                                              <독수리바위>

 

              잠시 쉬었다가 다시 나홀로 왔던길
              되돌아 나오니 북능초입길이 안보인다
              한참을 길을 찿으려 이리저리 기웃거리는데
              오른쪽 산죽위로 리본이 많이 붙어 있어
              다가서 보니 무성한 산죽에 길이 숨어있었다
              초입부터 무지하게 미끄러운 산죽길이다
              한참을 미끄러지듯 산죽길을 지나
              조심조심 절벽을 타고 내려서니 
              눈앞에 웅장하게게 떡하니 버티고 서있는
              독수리 바위에 올라 조망하며 비스켓을 
              간식으로 먹으면서 잠시 휴식을 취한다
              곧장 경산선생과 그의 동료가 올라왔다


                                                 <지나온 독수리바위의 운문북릉>

 

              경산선생이 먼저 가겠노라고 인사를 건네니
              독수리바위 아래를 안고 돌다가 직진하지 말고
              우회하라는 주의를 준다
              그러나 너덜길의 비탈을 조심조심하면서
              큰길을 한참을 내려서니 길이 사라져 버렸다
              순간 경산선생의 주의가 생각이 났다
              곧장 다시 헥헥거리며 되돌아 올라오는
              알바를 하고나니 우회하는 희미하하게 길이 보였다
              독수리 바위를 벗어나니 길다운 길이 나온다
              그새 경산선생은 동료와 앞서 가고 있었다
              나를 보더니 웃으면서 아까 그기서 바로
              내려간 모양이지요 한다
              쑥스럽게 그렇다고 하며 고맙다고 했다

                                                 <마지막 바위전망대에서>

 

               몇번의 작은 봉우리를 너무나 지루하게
               그리고 힘겹게 오르 내리니 체력이 바닥이다
               마지막 전망대인듯한 커다란 바위위에 올라서니
               저녁 6시경 해는 서산으로 기울기 시작하였다
               전망대 바위아래로 하늘로 간다는 천문지골이
               보이고 골짜기 끝에 있는 운문사의 저녁 예불을
               알리는 범종소리가 은은히 들려온다
               운문사의 고즈녁한 저녁풍경이 마치 선계와 같다 
               그러나 어둠이 몰려오는 이시간에
               더이상 선계에 빠져 있을수가 없었다
               급히 운문사 문수선원으로 하산하여
               경산선생 일행과 작별인사를 나누고 돌아서니
               저녁 7시 이미 날은 어둠에 쌓였다

 

 

                      솔  바  람